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94

4.러시아 정교회와 '제3의 로마'(중세, 근대 초 서양 기독교 세계는 왜 분열되었을까?) 블라디미르 1세키예프 루스 류리크 왕조 의 제5대 대공으로 정복군주 스뱌토슬라프 1세 의 3남이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볼로디namu.wiki분열되어 있었던 루스 공국들은 1223년 몽골 제국이 숙적인 쿠만을 침공하자 쿠만보다 더 위험한 상대라 파악하고 연합군을 구성했으나 칼가강 전투에서 불세출의 명장 우량카이 수부타이에게 대패한다. 이번 침공은 본격적인 공격이 아니라 호라즘 왕조 잔당을 처리하고 지나가다가 건드려본 정도였기 때문에 몽골군은 이기고도 그냥 돌아갔지만, 시간이 흘러 1237년에 몽골 제국의 바투 칸이 본격적으로 루스를 침공한다. 바투는 랴잔, 블라디미르, 수즈달 등 동쪽의 공국들을 하나하나 박살내며 키예프로 진격했다. 당시 키예프 대공이었던 미하일 2세는 헝가리에 있었는데 그 사이 갈리치아의 .. 2024. 6. 12.
3.동방 정교회와 서방 정교회의 분열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중세, 근대 초 서양 기독교 세계는 왜 분열되었을까?) 동방 정교회와 서방 라틴 교회가 분열된 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배경: 동유럽과 서유럽의 이질화동서방 교회가 형식적으로 분열되기에 앞서서 동유럽과 서유럽은 문화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점차 이질적인 지역이 되어갔다. 395년 로마 제국이 동서로 갈라지기 전부터 제국은 이미 문화적으로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두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언어 차이로마인들이 사용한 라인어는 제국의 유일한 공식 언어가 아니었다. 왜냐하면 오랜 문화적 전통의 높은 장벽에 부딪혀 로마화가 좌절된 동부 지중해 세계는 여전히 그리스 어와 그리스 문화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문명화가 덜 진행되었고 로마 제국에 편입된 이후 로마화가 크게 진척된 서부.. 2024. 6. 12.
2.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 비교(공통점과 차이점)(중세, 근대 초 서양 기독교 세계는 왜 분열되었을까?) 오리엔트 정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구분오리엔트 정교회: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토착화된 기독교동방 정교회: 동유럽 지역에 퍼져 있으면서 비잔티움 제국 즉, 그리스의 문화적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 여러 교회동방 정교회와 가톨릭의 공통점- 개신교보다는 가톨릭 쪽과 닮은 점이 많다(가톨릭교회와 마찬가지로 교리 면에서 7성사와 화체설을 인정하고 있고, 교회 조직의 측면에서도 주교 제도와 수도원 제도를 모두 받아들이고 있으며, 성인 공경과 성호 긋기의 전통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7성사: 하느님의 은총의 표지로 간주되는 의식으로 세례, 견진, 성체, 고해, 성품, 혼인, 병자 성사가 있다.*화체설: 성만찬 때 사용하는 빵과 포도주의 실체가 실제로 그리스도의 살과 피로 변한다는 교리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2024. 6. 12.
1.초기 기독교의 분열(중세, 근대 초 서양 기독교 세계는 왜 분열되었을까?) 신양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현재 이스라엘의 수도인 예루살렘에서 최초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기독교인들의 공동체가 생겨났다.처음에는 주로 유대인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떤 기독교가 유럽으로 전파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사람은 '이방인의 사도'로 불린 바울이었다. 그는 여러 차례의 전도 여행을 통해 터키, 그리스, 이탈리아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했고 각처에서 교회를 세우는데 힘쓰다가 결국 로마에서 순교했다. 초기 기독교 내부의 분열내부에서 제기된 최초의 위협은 1세기 말엽부터 대두한 영지주의(Gnosticism)로부터 나왔다. 그노시스(gnosis)는 '비밀스러운 지식'을 의미한다. 영지주의자들은 모든 물질세계를 타락의 산물인 동시에 악한 것으로 보고 인간의 영혼은 육체로부터 해방됨으로써만이 구원받.. 2024. 6. 12.
반응형